정상체중 이거나 저체중이지만 체지방률이 높고 근육량이 적은 상태,
운동을 거의 하지 않는 대다수 20대 여성이 이에 속합니다.
겉보기에는 괜찮아보이고
몸무게도 적당하기 때문에
지나처 버리기 쉽지만 마른비만은 보통비만보다 더 위험하다는 사실!
마른비만의 특징
몸 전체에 살이 붙어있기보다는 특정 부위에 체지방이 축척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겉으로 보이는 팔, 다리 등은 날씬한데 비해 옷 안에 감춰져 있는 엉덩이와 배, 허벅지 등은 통통한 사람들이 많다.
마른 비만의 유형
- 근육이 적고 물렁살이 많은 물렁살형
- 팔다리는 앙상한데 아랫배가 볼록한 올챙이형
- 장간막에 지방이 끼는 내장형으로 나타난다.
마른비만의 원인
- 마른비만의 가장 큰 원인은 운동부족과 영양섭취의 불균형 때문입니다.
- 폭식이나 불규칙적인 식사 습관
- 지나친 저열량의 식사로 단기간내에 하는 다이어트(원푸드다이어트)
- 팔, 다리에 비해 하복부는 살이 붙기 쉬우므로 주로 앉아서 장시간 일하는 사무직 여성이나 학생 등은 전체적인 혈액순환과 수분대사가 전신에 고루 되지 않기 때문에 마른 비만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.
마른비만의 위험성
- 마른비만은 피하지방이 아닌 내장지방이 쌓이기 때문인데, 체중이 정상이고 손으로 만졌을 때 잡히는 지방이 많지 않다고 해서 방심하는 경우가 있다.
- 표피는 두껍지 않은데 배가 볼록 나온 경우가 내장지방형 복부비만에 해당하는데, 이는 발견이 어려울 뿐 아니라 감량도 쉽지 않고, 또한 역류성 식도염의 발병률은 1.6배, 당뇨병은 최대 10배까지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피하지방형 복부비만보다 훨씬 위험해요.
마른비만 진단법
엉덩이둘레로 산정하는 법
허 리 둘 레 : 선 자세에서 배꼽을 기준으로 허리 둘레를 측정한다.
엉덩이둘레 :가장 큰 엉덩이 부위의 둘레를 측정한다.
둘레 비율 = 허리둘레÷엉덩이둘레
여성의 경우
정 상 : 0.7~0.85 이하
복부비만 : 0.85 이상
남성의 경우
정 상 : 0.8~0.9 이하
복부비만 : 0.9 이상
보다 정확한 마른비만 여부를 알기 위해서는 체지방측정기를 통해 진단할 수 있어요.
[다이어트] - BMI지수(체질량지수)와 체지방률
간단한 마른비만 진단법 (3가지 이상 항목이 해당되면 마른비만일 가능성이 높다.)
- 앉아서 일한다.
- 최근 1년간 운동한 적이 없다.
- 주 3회 이상 술을 마신다.
- 전보다 아랫배가 나온 느낌이 든다.
- 식사가 불규칙하고 과식한다.
- 배-가슴 등에 물렁살이 만져진다.
개선방법
식습관 개선과 함께 규칙적 운동을 꾸준히 실천해 생활패턴을 바꿔 나가는 것이 최선이다.
체중 감량보다는 체지방률을 낮추고 근육량을 키우는 것에 중점을 둔다.
하루 섭취칼로리는 1,500 ~ 1,800kcal 이하
식사는 하루 세 끼를 규칙적으로 먹는다.(지방보다는 단백질 위주로 식단 구성, 포만감을 줄 수 있는 과일 채소 많이 섭취)
술과 야식은 금하고, 배고플 때는 과일이나 우유 한 잔 정도로 먹어요.
운동은 격렬한 것보다 천천히 걷기나 조깅, 수영 등 유산소 운동을 통해 지방을 줄여 나가는 것이 효과적이예요.
유산소 운동은 처음에는 가볍게 걷기부터시작해서 점점 속도를 붙여 빠르게 걷고,
운동전후에는 허리 돌리기와 허리굽혔다 펴기 등 복부를 충분히 스트레칭 해주세요.
유산소운동은 일주일에 4~5번 이상, 한 번에 30분이상 해요.
웨이트 트레이닝 등 무산소 운동도 같이 해부면 탄력있는 몸매를 유지할 수 있어요.
같이하면 좋은 운동
장 활성화운동 : 훌라후프
배 근육키우는 운동 : 윗몸 일으키기
마른비만이 보통 비만보다 방치해두면 오히려 더 위험 할 수 있다고 하니, 미리미리 진단해보고 관리해보세요.
'다이어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운동 시간은 길게, 운동 강도는 낮게 (0) | 2011.11.30 |
---|---|
살을 빼야만 부인병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. (0) | 2011.11.25 |
무엇 때문에 살이 쪘는가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. (0) | 2011.11.17 |
표준체중 구하기 - 표준체중표 (0) | 2011.11.10 |
BMI지수(체질량지수)와 체지방률 (1) | 2011.11.08 |